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일반 도구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18.223.43.31
IP 사용자
설정
다크 테마로
라이트 테마로
로그인
최근 변경
더보기
이동
삭제
역사
ACL
더 글로리
(r4 문단 편집)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AW 편집
== 기타 == * [[송혜교]]는 [[김은숙]] 작가와 [[2016년]] 〈[[태양의 후예]]〉 이후 약 6년 8개월 만에 재회하며, 처음으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에 출연한다. * [[이도현]]은 〈[[스위트홈(시즌 1)|스위트홈]]〉 이후 2년 만에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에 출연한다. * [[임지연]]은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파트 2에 이어 같은 달에 연이어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에 출연하며, 처음으로 악역에 도전한다. 또한, [[윤다경]]과 〈[[인간중독]]〉 이후 약 8년 만에 재회하며, 두 번째로 모녀 사이로 협업한다. * [[송혜교]]와 [[임지연]]은 각각 [[풀하우스]]와 [[웰컴2라이프]]로 [[비(가수)|비]]와 멜로 주인공을 맡은 적이 있다. * [[정성일]]과 [[김히어라]]는 〈[[배드 앤 크레이지]]〉에 이어 11개월 만에 재회한다. * [[김은숙]] 작가는 제작발표회에서 청불 등급을 받게 된 부분에 대해 "폭력성도 폭력성이지만 작중 동은의 복수는 사법체계의 도움이 아닌, [[사적제재]]에 의해 이뤄진다. 이에 김 작가 본인은 사적 제재를 옹호하지 않는 입장이기에 이에 대한 묘사를 가볍게 할 수 없어서 청불 등급을 선택한 것"이라 밝히면서 "성인분들께선 보시고 옳은 판단을 주셨으면 좋겠다"라고 첨언했다.[* 손명오를 제외하면 가해자들의 재력과 권력, 사회적인 입지가 일반인들에 비해 압도적이었기 때문에 주인공은 일반적인 무력이나 법으로 심판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처음부터 인지하고 있었고, 주인공은 최종 목표를 '사회적 죽음'(남은 평생을 떳떳하게 살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잡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청불 드라마 치고 수위가 아주 높지는 않으며, 몇몇 과도한 폭력 묘사와 성적 묘사만 더 편집하면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을 받는 것도 가능하긴 하다. [[빅마우스]]가 15세 등급을 받았다.[* 참고로 빅마우스는 지상파 방송국인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인데도 15세 등급을 받았다.] * [[2010년]] 〈[[시크릿 가든]]〉의 흥행 이후 6연속 대흥행을 기록하던 [[김은숙]] 작가가 〈[[더 킹: 영원의 군주]]〉의 실패 이후 처음으로 집필하는 작품이자 로맨스 코미디 장르에 특화되어 있던 김은숙 작가가 집필하는 첫 복수극이다. 이에 따라 공개 전까지만 해도 김은숙 작품치고는 기대치가 상당히 낮은 작품이었다. 공교롭게도 주연 배우인 [[송혜교]] 또한 직전 출연작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가 연속되던 〈[[펜트하우스 2]]〉 - 〈[[모범택시(드라마)|모범택시]]〉 - 〈[[펜트하우스 3]]〉 - 〈[[원 더 우먼]]〉의 후광을 이어받지 못하고 2021년 SBS 금토 드라마 중 2번째로 낮은 성적을 기록한 바 있다.[* 닐슨 코리아 수도권 평균 시청률 기준 〈[[펜트하우스 2]]〉가 23.1%, 〈[[모범택시(드라마)|모범택시]]〉가 13.5%, 〈[[펜트하우스 3]]〉가 18%, 〈[[원 더 우먼]]〉이 14.3%,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가 7.1%{{{-1 (2022년 방영분 포함)}}}를 기록했다. [[https://naver.me/GA1LIesT|#]]] * 초반에 시즌제 편성이라는 기사와 복수를 다루는 시놉시스가 공개되자 일각에서는 〈[[펜트하우스 시리즈]]〉를 복제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문동은]]과 [[박연진]]의 관계는 [[오윤희]]와 [[천서진]]의 혐관과 유사하며, [[박연진]], [[전재준]], [[이사라]] 등으로 구성된 일진 5인방도 [[주석훈]], [[주석경]], [[하은별]], [[유제니]], [[이민혁(펜트하우스)|이민혁]]이 소속된 리틀 헤라클럽과 유사하다. 또한, 성한고와 청아예고 둘 다 개판 5분 전인 학교인 점도 유사하며, 오비이락으로 본작 관련 기사가 풀린 시점이 〈[[펜트하우스 시리즈]]〉 최전성기였던 2020년 12월 ~ 2021년 4월이었기에 이러한 여론들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정작 본편이 공개되자 〈[[펜트하우스 시리즈]]〉에 필적하는 성적을 기록했고 평가 면에서도 시리즈 중 평가가 월등히 높았던 펜트하우스 시즌 1과 동등한 평가를 받으며 대흥행에 성공했다. * [[2018년]] 이후 한국 드라마에서 특이하게 복수극들이 그 해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거나 그 해의 대표 드라마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2023년]]에는 본작이 그 명성을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최고 시청률 : [[2018년]] [[황후의 품격]](17.9%), [[2019년]] [[SKY 캐슬]](23.8%), [[2020년]] [[부부의 세계]](28.4%)&[[펜트하우스(드라마)|펜트하우스]](28.8%), [[2021년]] [[펜트하우스 II]](29.2%), [[2022년]] [[재벌집 막내아들]](26.9%), [[2023년]] [[더 글로리]](넷플릭스 전체 3위)] * [[복수극]]뿐만 아니라 드라마 전체 통들어서도 고무적인 성과를 기록 중이다. 새해 들어 방영된 드라마들 중 [[빨간풍선]], [[법쩐]], [[대행사]], [[일타 스캔들]] 네 드라마를 제외하고는 지상파 연속극, 케이블 미니 시리즈 가리지 않고 부진한 성적을 기록 중이어서 본 작품의 주가가 더 올라가는 중이다. * [[김은숙]] 작가 작품 최초로 [[김준석(음악감독)/드라마 음악|김준석]]이 음악감독을 맡았다.[* 비슷한 드라마 〈[[비밀의 숲 시리즈]]〉, 〈[[펜트하우스 시리즈]]〉의 음악 감독이었다.] * [[신예은]]은 직전 출연작인 〈[[3인칭 복수]]〉에 이어 연달아 복수극에 출연한다.[* 다만 전작에서는 선역인 주인공을 연기했으나 해당 작품에서는 악역을 담당했다.] * 성인 역 배우들과 아역 배우들의 싱크로율이 매우 높다. * 제작 초반에는 시즌제로 제작될 예정이라는 보도가 있었으나, [[2022년]] [[12월 20일]]에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한 시즌이 파트 1과 파트 2로 나뉘어 공개된다고 밝혔다.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과 같은 방식이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12/0003605630|기사]] * 티저 영상 및 오프닝 시퀀스는 'Undesigned Museum'에서 제작했다. * [[김은숙|극본가]]의 전작 〈[[미스터 션샤인]]〉에서 [[쿠도 히나|주연 중 한 명]]이 소유한 호텔 이름과 드라마 제목이 유사하다. * ‘the glory(더 글로리)’를 한글 타자로 치면 ‘솓 히ㅐ교’가 되고, 이것은 공교롭게도 [[송혜교]]와 발음이 비슷하다.[[https://m.bboom.naver.com/best/get?boardNo=9&postNo=3886403&entrance=|#]] * [[2020년대]]에 들어 대흥행했던 드라마들에 씬스틸러로 나온 배우들이 본작에 대거 등장해 더욱 화제가 되었다. 일례로 [[OCN]]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탄탄한 매니아층을 토대로 올해 하반기 파트 2 방영 예정인 [[경이로운 소문]]에서 [[추매옥]] 역을 맡은 [[염혜란]][* 참고로 이 분 작가의 최고로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인기있던 작품 중 하나]]에서 지은탁의 이모 역을 맡아 열연을 하신 분이다.], [[신명휘]] 역의 [[최광일]], [[ENA]]의 기적이라 불리며 우영우 신드롬을 가지고 온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계향심 역으로 출연한 [[김히어라]]와 신일수 역으로 출연한 [[허동원]] 그리고 어린 우영우 역을 맡았던 [[오지율]], 2020년대 대한민국을 강타하며 시청률 30%를 넘긴 [[펜트하우스 시리즈]]에서 변 회장 역으로 출연한 오민애와 [[송희수]] 역으로 출연한 [[정아미]], [[펜트하우스 II]] 이후 20개월 만에 시청률 25%를 넘긴 [[재벌집 막내아들]]에서 백동민 역으로 출연한 [[강길우]], [[주영일]] 역으로 출연한 [[이병준]]이 있다. 또한, 2022년 최초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화제작 [[지금 우리 학교는]]에서 [[요나스 바이러스|바이러스]]를 만든 [[이병찬(지금 우리 학교는)|이병찬]] 선생의 아들 [[이진수(지금 우리 학교는)|이진수]] 역을 맡았던 [[이민구(배우)|이민구]]도 출연한다. * 더 글로리 흥행 이후 [[2023년]] 2월, [[정순신]] 국가수사본부장의 아들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31853?sid=102|학폭에 심하게 연루된 것이 폭로되면서 거센 비판 여론이 일어났다.]] 자세한 내용은 [[정순신 아들 학교폭력 가해 사건]]을 참조하면 된다. 이후 정순신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81977?sid=102|사의를 표명했다.]] * 더 글로리 시즌2가 공개되는 3월 10일, '더 글로리'를 연출한 안길호 PD가 학교 폭력(학폭) 가해자였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4977959|#]] 다만 의혹 제기자의 글 내용으로 보면 학교 폭력이었다기보다는 쌍방 과실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의혹 제기자를 향한 의구심이 번지고 있는 것에 더해, 학교 폭력 피해의 범주가 점점 애매모호해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안길호 PD는 이를 부인했으나 이후 2명이 추가로 가해 의혹을 제기했다. 결론만 말해 현재로서는 의혹에 불과한 상태이며 확실한 사실로 밝혀지기 전까지는 가해자라는 등의 지나친 비난은 삼가해야 한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13806731|#]] {{{#!folding [ 스포일러 내용 포함 ] * 과거의 사건 때문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은 한 여성의 복수극이라는 이야기와 전체적인 설정과 과거 만났던 여러 인물들의 조력을 받는다는 점에서 [[박찬욱]]의 영화 〈[[친절한 금자씨]]〉가 떠오른다는 의견이 나온다. 위의 포스터 중 하나에서 송혜교가 취하고 있는 포즈와 표정도 친절한 금자씨의 포스터에서 이영애가 분한 이금자가 [[성녀]]처럼 표현된 것과 굉장히 유사하다. * 본작에서 일어난 학교폭력과 유사한 학교폭력 사건이 실제로 일어난 바 있다. * 작중 '고데기 온도 체크' 학교폭력 장면은 지난 2006년 충북 청주에서 실제로 벌어졌던 사건이다. 당시 중학교 3학년 학생 여러 명이 동급생이던 학생 한 명을 표적 삼아 20일 간 고데기, 옷핀, 책 등으로 상해를 입힌 사건이며, 가해자들은 2023년 기준으로 33살이 되었다고 한다. [[http://www.newssocdak.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29|#]] * [[2020년]] [[7월 15일]], 알고 지낸 지 한두 달 정도 된 또래 청년들이 밤 11시쯤 생일을 축하해주겠답시고 피해자인 박 모씨(당시 22세)를 강제로 어두운 공터에 끌고간 뒤, 다짜고짜 머리에 두건을 씌운 채 의자에 앉힌 뒤 테이프로 발목까지 결박했다. 이후 박씨 주변에는 휘발유가 뿌려졌고, 양 무릎에 폭죽이 올려졌다. 결국 폭죽이 터지며 휘발유에 떨어졌고, 불이 박씨에게 옮겨붙어서 전신의 40%에 3도 화상을 입었으나, 치료금의 절반도 안되는 쥐꼬리 합의금만 받고 풀려난 사건이 뒤늦게 폭로됐다. 가해자들은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 결국 영화나 드라마보다도 훨씬 추악한 현실을 잘 보여주는 예시로, 본작의 고데기 고문보다 더더욱 잔혹한 피해를 입고도 가해자들은 형식적인 쥐꼬리 합의금으로 끝났다는 것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01183?sid=10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792160?sid=102|#]] 다만, 이 사건은 드라마와 다르게 피해자 부모가 자식인 피해자를 도우며 치료하고 있다. 여담으로 가해자들 중 한명은 2022년 10월 20일 무면허 음주운전을 하다가 사고로 상대편 운전자를 사망에 이르게 했다.[* 집행유예 기간 이 범죄를 저질렀고 심지어 이번이 '''6번째'''라고 한다.] 이 사건으로 현재 구속되어 재판을 받고 있다. [[https://m.ajunews.com/view/20230215141217455|#]] [[https://www.youtube.com/watch?v=5g9pvBN1hdQ|뉴스]] * [[기상캐스터]] 출신인 [[김가영(기상캐스터)|김가영]]과 [[안혜경]]은 '더 글로리'에서 [[임지연]]이 연기한 박연진의 기상캐스터 원고를 다른 이가 대신 써준다는 설정에 대해 "CG 의뢰부터 취재와 원고 작성까지는 오롯이 캐스터 한 명의 몫"이라며 "때로는 제보 사진, 음악과 의상, 소품까지도요!"라고 설명하면서도, 임지연의 캐스팅이 완벽해서 진짜 기상캐스터 같다고 칭찬을 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919586|해당 기사]] * 작품 안에서는 서로가 서로를 못 잡아먹어 안달이고, 잔혹하고 무서운 모습을 보여주지만 실제로는 촬영하면서 매우 친해진 것인지 배우들의 SNS에 소위 과몰입 방지짤이 자주 올라오고 있다. 유튜브에도 촬영중 영상이 올라왔는데, 다들 촬영장에서 훈훈하게 서로 배려하는 모습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p5FYFtsgdcc|#]] * 해당 작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끈 만큼 2022-23년 사이 발생한 학교폭력 관련한 사건에는 십중팔구 더 글로리가 언급되는데, 개중엔 드라마보다 더 심한 사건들이 많아 "현실이 드라마를 뛰어넘는다"라는 평을 비일비재하게 받는다. 더 글로리의 고데기 장면은 너무 과장되었다는 평이 있었으나 실제로 청주 고데기 사건이 있었다는 게 알려지고나선 잠잠해졌고, 2023년 3월 초에 논란이 된 [[지기TV]]의 학교폭력 사건에서는 '''피해자가 말리는데도 피해자 집에서 자위를 했다'''는 내용까지 사실로 판정나면서 '더 글로리는 순한맛이었다'는 평이 많이 생겼다. * 이사라 문서에도 작성되어 있는데 극중 이사라 대사 중 '''"근로소득세 내는 넌 모르는 이 종합소득세 내는 세계가 있단다."''' 라는 대사가 나온다. 얼핏 들으면 '재력을 과시하는 것, 소위 부자들의 세계가 있다.' 정도로 들리지만 탈세 등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해석이 가능하다고 한다. 방법은 재준이 법인 명의로 그림을 구매하면 사라는 세금을 제하고 현금이나 차명 계좌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배송비 별도라는 건 사라도 아예 안받을 순 없으니 배송비를 그림값으로 받겠다 라고 보면 된다. 이렇게 되면 경비를 제하고 돈을 돌려준 사라는 이익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몸값과 그림값을 올리고 일반인들에게는 재준이 구매해 준 가격과 비슷하게 측정해서 그림을 파는 식이다. '그림으로 탈세나 비자금을 만든다'라는 대사들은 여러 드라마에서 나오지만 정확한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데 대사 한마디가 여러가지를 설명해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im preview
angelwiki.org | Operated by LightLab |
개인정보 처리방침
| Powered by The Tree
라이트랩 | 대표자: 전노아 | 사업자등록번호: 587-16-02374 | 담당자: 호시아 니나 | 담당자 연락처:
[email protected]
| 고객센터:
문의
/
신고
clue
|
the tree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사이드바 설정
고정
숨김
우측 표시
하단 표시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페이지 이동 시 검색 창 초기화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