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일반 도구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18.223.43.31
IP 사용자
설정
다크 테마로
라이트 테마로
로그인
최근 변경
더보기
이동
삭제
역사
ACL
더 글로리
(r4 문단 편집)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AW 편집
== 흥행 == ||<-4><tablealign=center><tablewidth=75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26342a><bgcolor=#26342a> '''{{{#fff 넷플릭스 시청 시간}}}''' || ||<rowbgcolor=#26342a><rowcolor=#fff> '''날짜''' || '''전체 순위''' || '''비영어 순위''' || '''시청 시간''' || || 2022-12-26(월) ~ 2023-01-01(일) || 8위 || 3위 || 25,410,000시간 || || 2023-01-02(월) ~ 2023-01-08(일) || 3위 || '''1위''' || 82,480,000시간 || || 2023-01-09(월) ~ 2023-01-15(일) || 7위 || 2위 || 40,110,000시간 || || 2023-01-16(월) ~ 2023-01-22(일) || 9위 || 3위 || 24,200,000시간 || || 2023-01-23(월) ~ 2023-01-29(일) || 15위 || 9위 || 17,360,000시간 || ||<bgcolor=#26342a> '''{{{#fff 누적 시청 시간}}}''' ||<-3> '''189,560,000시간+α''' || ||<-4><bgcolor=#26342a> [[https://top10.netflix.com/tv| {{{#fff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 공개 하루 뒤인 12월 31일, 전세계 순위 9위로 진입했다. 공개 3일 만인 2023년 1월 1일 기준 넷플릭스 전세계 5위,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1위, 홍콩, 일본, 몰디브, 오만, 아랍에미리트 2위, 바레인, 방글라데시, 쿠웨이트, 스리랑카 4위, 미국 6위를 차지했다. [[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world/2023-01-01/|#1]] [[http://www.heraldpop.com/view.php?ud=202301020905477597650_1|#2]] [[http://news.tf.co.kr/read/entertain/1989887.htm|#3]] [[https://alpha.iam100home.com/22|#4]] [[http://syreviewer0914.tistory.com/123|#5]] 공개 5일차인 1월 4일 기준 2,541만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넷플릭스 전세계 6위, 비영어권 부문 3위를 차지했다. 또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홍콩, 사우디아라비아 1위, 바레인, 일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2위, 쿠웨이트, 몰디브, 오만 3위, 브라질, 캐나다, 모로코, 뉴질랜드, 나이지리아, 스리랑카 5위, 프랑스, 인도, 요르단, 멕시코, 파키스탄, 페루, 미국 6위, 온두라스, 니카라과, 폴란드, 살바도르 7위, 바하마, 벨기에, 볼리비아, 도미니카 공화국, 이집트, 그리스, 헝가리, 자메이카, 케냐, 모리셔스, 루마니아, 터키 8위, 독일, 칠레, 과테말라, 파라과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트리니다드 토바고 9위, 콜롬비아, 키프로스, 체코, 룩셈부르크, 파나마, 슬로바키아, 스위스 10위를 차지하며 58개국에서 10위 안에 들었다. [[https://v.daum.net/v/20230104092547441|#1]] [[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world/2023-01-03/|#2]] 1월 5일 기준 넷플릭스 전세계 6위는 유지하고 바하마, 벨기에, 볼리비아, 칠레, 콜롬비아, 키프로스, 체코, 이집트, 독일, 헝가리, 인도, 자메이카, 룩셈부르크, 몰디브, 모리셔스, 멕시코, 오만, 파키스탄,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리랑카, 스위스,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순위가 상승했고, 쿠웨이트 2위, 일본 3위, 방글라데시 4위, 요르단 6위, 이탈리아 8위, 이스라엘과 네덜란드 10위로 7개국에서 TV프로그램 top 10에 새롭게 진입하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상승가도를 달리고 있다. [[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world/2023-01-04/|#]] 1월 6일 넷플릭스 전세계 순위가 6위에서 4위로 두 계단 상승했다. [[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world/2023-01-05/|#]] 1월 11일 넷플릭스 '''비영어권 TV부문 주간 1위'''를 차지했다. 누적 시청시간은 무려 8248만 시간이다. [[https://top10.netflix.com/tv-non-english?week=2023-01-08|#]] 이로서 더 글로리는 [[김은숙]] 작가의 흥행작 반열에 그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하지만 전세계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OTT 시리즈물로선 완전한 흥행작으로 보기 힘든 점이 있는데, 위에 언급된 공개 3일차와 5일차를 제외하고는 미국 내에서 순위권에 오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미국 내 순위에 오른 건 공개 5일차 6위가 끝이었으며 이후 현재까지도 미국 시청자 TOP 10 목록에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https://top10.netflix.com/united-states/tv|#]] 이는 영국[[https://top10.netflix.com/united-kingdom/tv|#]], 호주[[https://top10.netflix.com/australia/tv|#]], 캐나다[[https://top10.netflix.com/canada/tv|#]]와 같은 영미권에서도 모두 동일하며 독일[[https://top10.netflix.com/germany/tv|#]], 프랑스[[https://top10.netflix.com/france/tv|#]]에서도 마찬가지로 순위권에서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반 출시 효과를 제외하면 소재, 이야기, 등장인물 등의 요소가 북미 시청자들을 비롯한 서구 주류 시청자들의 흥미를 끌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한 미국인의 시청 반응 중 하나를 들어보자면, 작중 가해자 패거리 수준으로 극단적인 학교폭력 가해자들이 [[미국]]에 실존한다면 [[총기 난사]] 사고(+정당방위 인정)가 일어날 확률이 높으며, 지역 갱단의 비호를 받는 게 아니고 단순히 부잣집 자제들이 그런 식으로 괴롭힌다는 건 간이 배 밖으로 나온 것이다는 반응이 있다.[[https://arca.live/b/singbung/69700693|#]]. ~~더 [[글록]]~~ 철저한 증거수집과 심리전을 통해 사적 제재를 하는 것이 영미권, 유럽권에서 다소 의아하게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한국에서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미미한 처벌로 인한 사법불신, 한국에서의 낮은 정당방위 인정 가능성 등이 결국 발목 잡힌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순위권을 유지하는 국가들의 공통점은 [[송중기]]와 [[송혜교]]가 함께 나왔던 [[태양의 후예]]가 수출되어 큰 인기를 얻었던 일본, 동남아시아, 중동, 남미권 같은 국가라는 점이다.[* 한국 드라마에 대한 주목도가 높고, 똑같이 왕따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어 공감대가 맞아떨어질 만한 일본에서도 1위를 2주간 차지하였다.] 이는 소위 '태양의 후예' 빨이라 부르는 것이 없던 북미 지역을 비롯한 서구 주류국가들에서는 김은숙 작가와 송혜교의 이름값이 잘 통하지 않았기에, 흥행에 크게 성공하지는 못했다는 이야기다. 전세계 OTT 시장에 이제 첫 도전장을 낸 만큼 앞으로 김은숙 작가가 넘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후술할 영향력 문단에서도 서술된 내용이지만, 실제로 2023년 초 학교폭력 관련 논란이 정치계/언론계에서 끊이질 않는 바람에 더 글로리 관련 대사가 언론 기사에서도 인용되는 등 국내 한정으로는 다른 의미로도 흥행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im preview
angelwiki.org | Operated by LightLab |
개인정보 처리방침
| Powered by The Tree
라이트랩 | 대표자: 전노아 | 사업자등록번호: 587-16-02374 | 담당자: 호시아 니나 | 담당자 연락처:
[email protected]
| 고객센터:
문의
/
신고
clue
|
the tree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사이드바 설정
고정
숨김
우측 표시
하단 표시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페이지 이동 시 검색 창 초기화
사용